James Fowler의 신앙발달 理論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0:10
본문
Download : James Fowler의 신앙발달 이론연구.hwp
2)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
콜버그의 도덕발달 理論(이론)은 파울러가 신앙의 구성요소를 `도덕 판단의 형태`로 보게 된 근거가 되었다. 콜버그의 주된 관심은 도덕적인 판단이나 생각에 있어서 외부로 드러난 행동보다는 그렇게 행동하게 된 생각의 `구조`를 밝히는 데 있었다. 콜버그는 하인즈 딜레마(Heinz Dilemma)라고 불리는 상황에 상대하여 어떠한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지 살펴봄으로, 그러한 도덕적 판단 내리는 근거를 중심으로 도덕발달 단계를 구분하였다.
첫째 단계는 감각운동기로서, 2세까지의 영아들이 속하는 이 시기에는 감각이나 운동기관을 사용하여 environment과의 상호작용을 해 나간다.
콜버그의 도덕발달은 인습(convention)을 기초로 한 세 수준-인습전, 인습적, 인습이후의 수준-을 각각 두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된다 여기서 인습이란, 자신이 속한 집단의 협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습전 차원에선, 아직 자신의 집단의 규칙을 따르지 않고, 인습 차원에서는 자신의 그룹이나 사회의 규칙을 중시하여 이를 도덕판단의 근거로 삼으며, 마…(skip)
순서






Download : James Fowler의 신앙발달 이론연구.hwp( 73 )
설명
다. 둘째 단계는 전 조작기로서, 이 시기에는 내면적인 조작적 사고가 가능하긴 하지만 아직은 논리적이 아닌 직관적인 것일 뿐이다.레포트/인문사회
2. 심리학적 기초1) 장 삐아제(Jean Piaget)삐아제는 어떤 대상을 인식하는 데에는 `주체와 객체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 James Fowler의 신앙발달 이론연구인문사회레포트 ,
1) 장 삐아제(Jean Piaget)
James Fowler의 신앙발달 理論연구
2. 심리학적 기초
삐아제는 어떤 대상을 인식하는 데에는 `주체와 객체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인문사회,레포트
2. 심리학적 기초
1) 장 삐아제(Jean Piaget)
삐아제는 어떤 대상을 인식하는 데에는 `주체와 객체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외부의 environment을 자기 기존의 내부 틀에 통합시키는 `동화`와 새로운 environment에 adaptation(적응) 하기 위해 자신의 내부 틀을 alteration(변화) 시키는 `조절`을 통해 인식의 `균형`을 추구해 간다고 보았다. 따라서 논리보다는 상상력에 주로 의존하게 된다 셋째 단계는 구체적 조작기로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 시기로서 인과 관계를 이해하게 되고, 보존 定義(정이) 을 획득하게 된다 넷째 단계는 형식적 조작기로서 가시적인 것을 초월하여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시기이다. 그리고 아동기는 크게 네 단계를 거치며 지적인 발달을 이뤄간다고 보았는데, 그 네 단계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