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22:03
본문
Download : 정약용_119988.hwp
여기에서 그는 실용·실...
Ⅲ. 다산의 교육사상1. 오학론과 불가독설다산은 오학론과 불가독설이라는 저작에서 당시의 교육풍토를 비판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실용·실... , 정약용인문사회레포트 ,
정약용
Ⅲ. 다산의 교육사상
1. 오학론과 불가독설
다산은 오학론과 불가독설이라는 저작에서 당시의 교육풍토를 비판하였다. 첫머리가 천황씨, 지황씨, 인황씨로 처음 된…(To be continued )
Download : 정약용_119988.hwp( 91 )
Ⅲ. 다산의 교육사상






1. 오학론과 불가독설
다.
1) 오학론
오학론은 성리학·훈고학·문장학·과거학·술수학에 대해 논한 것을 말한다.,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산은 오학론과 불가독설이라는 저작에서 당시의 교육풍토를 비판하였다.
이상에서 다산 자신이 성리학·훈고학·문장학의 대가였음에도 이 삼학을 통렬히 비판했던 것은 퇴폐한 이들 학문연구에 대한 비판이지 이들의 본질마저 거부한 것은 아니었다. 여기서 다산은 “오학이 번창하자 주공·공자의 도는 잡초가 무성하듯 거칠어지기만 한데 장차 누가 능히 하나로 만들 수 있을까?”라고 기술하고 있으며, 성리학은 본연의 임무인 도를 알고 자기를 인식하며, 실천해야 할 도의에 힘쓰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하지 않았으며, 훈고학은 그 본연의 임무인 경전의 정의(定義)를 밝혀 도와 교의 본지에 통달하게 한다는 일에 불충실했다. 그런데 다산은 천자문이 문자가 체계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 문자교육의 가치가 적고 학습 하는 데 비efficacy적이고 주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자를 가지고는 발에 표를 하거나 시권에 표를 하는 것에나 사용해야 한다고 비웃고 있따
사략은 중국(China)의 歷史(역사)책을 초록한 것이다. 그러므로 불가독설은 천문조와 사략불가독설조 및 통감절요불가독설조 등 이른바 삼불가독설조를 이루고 있따
천자문은 한자 교육을 위한 학습서이다. 또한 과거학에 상대하여도 이 세상을 주관하면서 천하를 거느려 광대놀음을 하는 재주라고 비판하고 있으며, 술수학은 학문이 아니라 미혹시키는 것일 뿐이라고 비난하였다.
2) 불가독설
불가독설은 전통적인 유학교육에서 사용하던 천자문·사략·통감절요를 읽혀서는 안된다는 이론(理論)이다. 여기에서 그는 실용·실증·실리라는 그의 기본 사상에 입각하여 당시의 교육實態가 문제가되는점 을 지적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학사상에 기초한 교육의 성격을 구명했다 하겠다. 그리고 문장학은 그 본연의 임무인, 가까이는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고 멀리는 천지를 움직임으로써 귀신도 이르게 한다는 일을 달성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