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O의 활동과 우리 나라의 참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7:53
본문
Download : PKO의활동과우리.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UN평화유지활동 한국의평화유지활동 동티모르다국적군참여의미 PKO
순서
PKO의 한국 참여에 관한 나의 견해
PKO의 활동과 우리 나라의 참여
Download : PKO의활동과우리.hwp( 38 )





UN평화유지활동 한국의평화유지활동 동티모르다국적군참여의미 PKO / (정치)
다. 반면 이러한 감소 추세는 지난날의 PKO활동을 평가하고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교훈을 얻어 앞으로 새로운 PKO 설치시 보다 나은 PKO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제반 drawback(걸점)을 재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PKO 규모의 감축추세는 사상 최대의 보스니아 주재 PKO를 유지할 당위성이 없어진데 기인하지만 소말리아, 보스니아등에서 나타난 PKO 활동의 한계에 대한 국제여론의 비판과 유엔내 자성론에서도 일부 그 原因을 찾을 수 있다. 1997년중 유엔 PKO 활동에 참여하는 병력수는 약 2만여명으로 1995년 당시 최대 8만여명에 비해 1/4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1948-87년간 13개만 설치되었던 PKO가 냉전이 종식된 89년 이후 35개나 더 설치되는 등 급격히 증가현상을 보였으나, 사상최대 규모였던 구유고연방의 보스니아에 파견되었던 PKO가 철수하기 시작한 1995년을 정점으로 그 숫자가 대폭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UN평화유지활동 한국의평화유지활동 동티모르다국적군참여의미 PKO / (정치)
설명
유엔 평화유지활동 동향
우리나라의 참여現況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 동티모르 다국적군 참여 의미
국제평화와 안전유지를 위한 유엔의 중요한 정책수단인 유엔 평화유지활동(PKO)은 80년대말 냉전종식후 소규모 지역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PKO의 설치 빈도수 및 규모가 현저히 증가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