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g.kr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읽은후나서 > bug13 | bug.kr report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읽은후나서 > bug13

본문 바로가기

bug13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읽은후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23:54

본문




Download :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읽고나서.hwp




근본이 서게 되면 자신의 몸가짐을 가다듬는다. 관련분야에 대한 레포트 쓰시는 분들한테도 도움됩니다.

⑵ 퇴계(退溪)의 설명(explanation)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은 남당(南塘) 진무경(陣茂卿)이 저술하여 자신을 경계한 것이다. 그리고 聖賢이 말씀한 것을 고맙고 고맙게 귀담아 듣고, 제자들이 질문하는 것을 몇 번이고 참고하여 바르게 하고, 여기서 얻은 지식을 사물에 비추어 보고 실지로 경험하여 본다. 이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은 공부를 하여야 할 때를 많이 늘어 놓았으므로 그때를 따라서 배열하여 도표로 만든 것입니다. 지식을 사물에 비추어 보고 나면 나는 그저 나일 뿐이니,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사념에서 벗어난다. 이렇게 되면 천리의 환한 밝음이 눈에 들어온다.


성학십도(聖學十圖)를%20읽고나서_hwp_01.gif 성학십도(聖學十圖)를%20읽고나서_hwp_02.gif 성학십도(聖學十圖)를%20읽고나서_hwp_03.gif 성학십도(聖學十圖)를%20읽고나서_hwp_04.gif 성학십도(聖學十圖)를%20읽고나서_hwp_05.gif 성학십도(聖學十圖)를%20읽고나서_hwp_06.gif



순서

『성학십도』는 1568년, 68세의 노학자 퇴계가 17세의 소년왕 선조에게 바친 소책자입니다.



레포트/감상서평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읽은후나서


『성학십도』는 1568년, 68세의 노학자 퇴계가 17세의 소년왕 선조에게 바친 소책자입니다. 관련분야에 대한 report 쓰시는 분들한테도 도움됩니다. 夜氣를 잘 기르게 되면 情이 다시 元으로 돌아오니, 생각을 계속 여기에 두고 끊임없이 계속 노력한다.

#####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읽고나서 나서 ······. …(省略)


내용요약 및 감상이 들어있습니다. 한 번 고요하고 한 번 움직이는데 있어서 장소와 때를 따라 마음을 기르고 잘 살펴서 서로 그 공부를 힘쓰게 하는 법입니다.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Download :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읽고나서.hwp( 24 )



Ⅰ. 진성학십도차 병도(進聖學十圖箚 幷圖)

Ⅱ.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 六圖
⑴ 심통성정도설(心統性情圖說 )
⑵ 퇴계(退溪)의 설명(explanation)

Ⅲ. 인설도(仁說圖) : 七圖
⑴ 인설(仁說)
⑵ 퇴계(退溪)의 설명(explanation)

Ⅳ. 심학도(心學圖) : 八圖
⑴ 심학도설(心學圖說)
⑵ 퇴계(退溪)의 설명(explanation)

Ⅴ. 경재잠도(敬齋箴圖) : 九圖
⑴ 경재잠(敬齋箴)
⑵ 주자(朱子)의 설명(explanation)
⑶ 임천(臨川) 오씨(吳氏)의 설명(explanation)
⑷ 서산(西山) 진씨(眞氏)의 설명(explanation)
⑸ 퇴계(退溪)의 설명(explanation)

Ⅵ.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 : 十圖
⑴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⑵ 퇴계(退溪)의 설명(explanation)


#####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읽고나서 나서 ······

Ⅵ.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 : 十圖

⑴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때로는 지난날의 허물을 반성하고 때로는 새롭게 얻은 어떤 것들을 추려내어 차례(次例)에 맞게 조리를 세워 뚜렷하게 그리고 묵묵히 알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둘의 의미가 같이 나아가게 된다면, 聖人이 되는 요령이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내용요약 및 감상이 들어있습니다. ,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읽고나서감상서평레포트 ,
다. 과연 이렇게만 한다면 어떤 경우를 놓치지 아니하여 털끝만틈의 차질도 없을 것이며, 때를 잃지 아니하여 잠시간 사이라도 끊어짐이 없을 것입니다. 움직임과 고요함이 순환하는 때를 오직 마음만이 보게 되는 것이니, 고요한 때에는 보존하고 움직일 때에는 잘 살펴서 둘이나 셋으로 갈라지는 일을 안한다. 道라고 하는 것은 일상 생활을 하는 동안에 유행하는 것이다. 김화(金華) 왕노재(王魯齋)가 일찍이 태주(台州)에 있는 상채서원(上蔡書院)에서 교육을 주관할 때에 오직 이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만을 교육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각각 외우게 하고 익혀서 실행하도록 하였다.
Total 7,577건 482 페이지

검색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bug.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bug.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