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의 징비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20:23본문
Download : 징비록.hwp
유성룡은 이 책의 서문에서 “매양 지난 난중의 일을 생각하면 아닌게 아니라 황송스움과 부끄러움에 몸둘 곳을 알지 못해 왔다. 북행길에서 그는 영의정에 임명돼 이후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끄는 데 많은 기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전쟁이 끝날 무렵 북인들의 공격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와 ‘징비록’을 집필하였다.
이 책의 저자인 서예 유성룡은 1542년 경상도 의성현에서 태어났다.
2. 내용
‘징비록’이란 서명은 ‘시경’의 “내 지난 일을 징계하여 뒤에 근심이 있을까 삼가노라”고 한 문구에서 따온 것으로, 이 책은 임진왜란 중에 있었던 일을 회고 반성하여 뒷날에는 그런 낭패스런 일이 없도록 미리 조심하자는 의도에서 씌어진 것이다........ 어느날 밤에 큰 비가 내리는데 굶주린 백성이 내 주위에서 신음하는 소리를 차마 들을 수 없더라. 아침에 깨어보니 쓰러져 죽은 자가 심히 많더라.” 라는 기록에서 우리는 전쟁의 참혹함을 엿볼 수 있는데 유성룡은 이 책에서 전쟁중의 비참한 민중들의 생활을 사실 그대로 그리고 있다
징비록
유성룡 지음
1. 시대적 상황과 개요
‘징비록’은 조선 중기 선조 때의 명재상인 유성룡이 저술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관한 기록으로서 임진왜란과 조선왕조 사회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헌이다. 이 책의 1권과 2권은 전쟁이 일어나기 이전의 한.일관계, 전쟁이 발생하게 된 原因과 상황을 서술하고 있다 3권에서 5권까지는 ‘근폭집’이라는 편명이 붙어 있는데 이는 임진년에서 병신년까지 군국정무에 관한 글을 수록한 것이다.
설명
1. 시대적 상황과 개요
2. 내용
3. 인식
‘징비록은 전쟁에 관한 저술이므로 주로 전투 경위의 서술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실은 정치 경제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저술이다. 이에 한가로운 가운데 그 듣고 본 바를 대략 서술하였으니 임진년에서 무술년에 이르기까지의 것으로 모두 약간의 분량이다”라고 겸양해 마지 않았지만 ‘징비록’은 모두 16권 6책으로 매우 방대하고 그 내용이 종합적이다. 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도성이 위태롭게 되자 그는 선조와 함께 북행길에 나섰다. , 유성룡의 징비록인문사회레포트 , 유성룡 징비록 한국사 임진왜란 철학 독후감 레포트 서애집
징비록에 나타난 임진왜란의 배경과 원인(原因)에 대해 생각하였으며 유성룡은 임진왜란을 통해 무엇을 반성하여야 한다고 하였는지 작성하였습니다. 유성룡은 이 책에서 전쟁중의 식량문제와 명 나라와의 정치교섭 상황, 백성들의 비참한 생활상 등을 기록하는 데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길가에서 어린애가 죽은 어미의 젖을 빨고 있고........솔잎을 가루로 만들어 곡식은 적어 생명을 건진 것이 얼마되지 않았다. 그는 1566년 문과에 급제해 승문원 권지부정자에 보직된 이후 선조 23년에 우의정을 지내고 24년에는 좌의정을 지냈다.
Download : 징비록.hwp( 41 )
순서
징비록에 나타난 임진왜란의 배경과 원인에 대해 생각하였으며 유성룡은 임진왜란을 통해 무엇을 반성하여야 한다고 하였는지 작성하였습니다.
‘징비록’은 전쟁에 관한 저술이므로 주로 전투 경위의 서술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실은 정치 경제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저술이다. 유성룡은 이 책에서 전쟁중의 식량문제와 명 나라와의 정치교섭 상황, 백성들의 비참한…(drop)
유성룡,징비록,한국사,임진왜란,철학,독후감,레포트,서애집,인문사회,레포트


유성룡의 징비록
레포트/인문사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