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민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2 21:58
본문
Download : 안민가_2028378.hwp
‘기’는 부사성접미사, 중세어의 ‘이’와 대응한다.
‘治’의 중세어는 ‘다리다’이다.
‘惡’에 대한 추정음도 (가) 어 (소창, 홍), (나) 아 (김선, 서, 김준), (다) 악 (김완), (라) ㄱ (양), (마) (이), (바) 오 (정렬, 지)와 같이 매우 다양하다. 안민가 , 안민가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안민가에 대해 조사한 자료(資料)입니다. 음차자 ‘惡’에 대한 새김이 이렇게 다양한 것은 직접적으로는 ‘喰’의 훈을 어떻게 잡느냐와 관계를 가지고 있다
‘支’는 음차로 ‘기’에 대응한다. 이처럼, ‘喰’의 훈이 다양하게 나타남은 ‘喰’자의 특이함에서 말미암은 것이라 하겠다. gi > hi > i 로 발달한 것이다.
안민가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Download : 안민가_2028378.hwp( 85 )
안민가
설명






안민가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목 차>>
1. 서 론
2. 기존연구사 검토
2.1. 작자(충담사)에 대한 연구
2.2. <안민가(安民歌)>의 명칭에 대한 연구
2.3. 문학적 측면에 대한 연구
2.4. 종교(사상)·민속적 연구
2.5. 정치·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연구
2.6. 어학적 연구
3. 작품의 원전 및 特性 검토(제반 기록의 特性 분석)
4. history 문헌적 검토(배경설화 검토)
4.1. 경덕왕과 충담사
4.2. 충담사의 신분 논의
4.3. 표훈대덕
5. 텍스트 확정
6. <안민가>의 분석(정치적·경제·사회학적 측면에서의 연구)
7. 결 론
※ reference
※ 삼국유사 원전
(가)는 ‘喰’을 ‘食’으로 본 것이며, (나)의 ‘손’은 ‘法’을, (다)의 ‘괴’는 ‘愛’를, (라)는 ‘食’을, (마)는 ‘치’는 ‘養’을 뜻하는 것으로 새겼다. 따라서 ‘다…(생략(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