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색체와감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1 02:41
본문
Download : 한국인의색체와감성.hwp
어원자전을 보면 소자는 수자 윗부분의 변형으로??누에??에서 빼내는 생사가 한 줄씩 내려옴을 나타내는 회의문자이며 「본래의 그대로」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초록색을 보면 마음이 안정되고 편안해지고, 붉은 색을 보면 흥분되는 등......그리고 이런 색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도도 차이가 많이 난다.
한국인 하면 빠질 수 없는 색 중에 먼저 흰색이 있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을 백의 민족이라 하지 않았던가?!
우리 조상들은 백색을 말할 때 아주 희다는 뜻으로 순백 또는 수백, 백정, 정백 그리고 때로는 선명하게 희다고 해서 선백이라고 표현했다. 그럼 이제부터 한국인의 색채와 감성에 대해 내 생각을 말해 보겠다.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인의색체와감성
한국인의색체와감성 , 한국인의색체와감성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인의색체와감성
한국인의색체와감성,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인의색체와감성.hwp( 44 )
한국인의색체와감성
●내가 생각하는 한국인의 색채와 감성
색은 사람의 심리상태를 반영한다거나 심리변화를 일으킨다고들 한다. 또한 여기에는 인공적으로 색을 조작하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To be continued )





다. 개개인에 따라 선호하는 색이 다르듯이 민족마다 선호하는 색도 당연히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된다. 아까도 말했듯이 색은 그 사람의 심리 상태나 성격 등을 반영하므로 민족의 민족성도 반영될 것이라 생각된다된다. 이 말들은 혼색이 전혀 없는 상태의 마냥 흰 색을 뜻하며 흰색에 가깝지만 미묘한 혼색이 있는 색들은 구분해서 불렀는데, 예를 들면 젖빛 같은 유백, 달걀 빛 같은 난백, 잿빛을 곁들인 회백, 누르스름한 황백, 푸르스름한 청백 등 이 있다
한편, 실이나 옷감의 표백 기술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백색을 소색이라고 했는데 소자는 흰 소 또는 순백??소??라 하여 빛깔이 흰옷을 ??소의??라 했으며 겨울의 흰 눈을 ??소설??, 흰 얼굴을 ??소안??, 가을은 음양 오행의 백색이므로 ??소추??라 했다. 여기에서 백지의 뜻이 파생되며, 이런 의미에서 쓰인 한자 단어로는 본디의 바탕을 의미하는 소지라는 말이 있다
이같이 한국인에게 있어서??백색??이라는 말은 단순히 `흰색`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순백과 유백, 난백, 회백 등의 모든 백색 계열의 색을 아우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