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수양과 그 현대적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11:23
본문
Download : 도교수양과 그 현대적 의미.hwp
이렇게 동아시아에서 삼교를 문명의 세 기둥으로 여겨온 history는 실로 오랜 것이다. 노자와 장자(소위 노장)를 중심으로 형성된 철학의 학파인 `도가`(Taoism in philosophy 혹은 philosophical Taoism)와 동한말에 건립된 오두미도로부터 비롯된 종교인 `도교`(Taoism in religion 혹은 religious Taoism)를 구분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은 것이다.
도교수양과 그 현대적 의미






1. 들어가는 말
2. 도교수양의 origin
3. 도가의 양생적 전통
3-1. 정신의 도가적 함의
3-2. 우주의 (정)기와 통하고, 형신을 함께 보전하는 양생의 수양
4. 도교수양의 종지
4-1. 애기·존신·양정과 내단의 수련
4-2. 신선이 되는 길
5. 도교수양의 현대적 의미
6. 나가는 말
1. 들어가는 말
흔히 도교는 유교·불교와 더불어 동아시아 문명의 골간을 형성했다고 한다. China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7세기의 고구려인도 이미 유교·불교·도교의 공존을 삼족정립에 비유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수천 년 동안 한자문화권에서 문명의 한 축으로 인식되어온 `도교`가 20세기에 들어와 동아시아 지식인들에 의해 그 이전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이해되었다. 그런데 이보다 더 큰 문제는 한 문명 내부의 계승사적 맥락을 다른 문명의 관점에 기초해 인위적으로 단절시켰다는 점에 있다 수십 세기에 걸쳐 동아시아 문명 안에서 실제로 전승된, 그리고 `전승된 것`으로 이해되어온 노자이래 도가(…(To be continued )
도교수양과그현대적의미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도교수양과 그 현대적 의미.hwp( 14 )
설명
도교수양과그현대적의미 , 도교수양과 그 현대적 의미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다. 그리하여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동아시아에서 `도가의 가르침(도가지교)` 정도를 의미했던 `도교`는 오늘날 도가와 무관한 별개의 종교를 지시하는 槪念으로 이해되고 있다
필자가 `철학의 학파인 도가`와 `종교인 도교`의 이원화가 `엄밀하지 않다`고 평가하는 이유는 우선 이런 구분이 history적 진실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애시당초 철학과 종교가 나뉘지 않았던, 달리 말하자면 철학(philosophy)과 종교(religion)의 이원적 槪念 자체를 가지고 있지 않던 문명의 history를 철학과 종교로 나누어 기술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사실 이런 구분은 20세기 초 서양 근대철학의 직·간접적 影響(영향) 아래 동아시아의 학술적 전통을 theory(이론)·사alteration(변화) 하는데 주력했던 몇몇 동양철학자들의 그다지 엄밀치 못한 관점을 그대로 물려받은 것인데, 이미 학문의 영역을 넘어 일반적 통념으로 굳어져 버리고 말았다.